[필드 뒷얘기] 금감원, 예산 압박에 인사관리 진퇴양난

빠듯한 살림에 인력 확대 강행 “인사관리 미흡”…원장 책임론

2024-09-20     이연경 기자

금융감독원이 직원 급여 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 한정적인 예산으로 대책 없이 인력만 늘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달 금감원 총무국은 올 하반기부터 직원들의 시간외수당을 줄이겠다고 선전포고했다. 이에 내부에선 불만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금감원은 급여 수준이 민간 금융사보다 낮아 시간외수당에 대한 직원들의 의존도가 높다.

<관련기사 : 2024년 8월 19일 본지 보도, 금감원, ‘야근수당’ 자제령…냉랭해진 직원 민심>

금감원이 이 같은 지침을 내린 건 올해 남은 예산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상반기 직원 급여로 이미 예상치보다 많은 예산을 지출해 하반기엔 허리띠를 졸라맨 거다.

금감원 경영정보공개에 따르면 해당 원이 책정한 직원 1인당 시간외수당 예산은 올해 544만원으로 지난해 645만원보다 101만원가량 줄었다.

반면 시간외수당과 별도로 분류되는 기본급 예산은 올해 1인당 5921만원으로 작년 5911만원 대비 10만원밖에 늘지 않았다.

금감원이 상반기에 과도한 예산을 지출한 건 먹여 살릴 식구가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금감원 직원은 이복현 원장이 취임한 다음 해를 기점으로 급증하고 있다.

금감원 직원 수는 지난 2019년 2166명, 2020년 2186명, 2021년 2184명, 2022년 2181명으로 변화가 미미했다. 그러다 2023년 2308명, 2024년 6월말 2422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중 정직원 수는 2019년 1477명, 2020년 1494명, 2021년 1524명, 2022명 1541명을 기록했다가 2023년 1681명에서 올해 6월말 1795명으로 늘었다.

계약직 직원은 2019년 637명에서 2020년 653명, 2021년 622명, 2022년 618명, 지난해 606명, 올해 6월말 606명으로 감소세다.

금감원 관계자 A씨는 “예산에서 급여로 쓸 수 있는 범위는 정해져 있는데, 직원 전체 급여가 늘어나니 그 외 별도 수당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B씨는 “원의 업무가 과중하다는 내부 목소리에 따라 인력을 늘리는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나 싶다”면서도 “기존 직원들의 급여가 줄어드는 부분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고 본다”라고 지적했다.

원 내부에선 이 원장에 대한 원망과 함께 인사국과 총무국에 대한 책임론까지 나오고 있다.

C씨는 “위에서 인력 충원을 주문하니 대책도 없이 일단 늘렸는데 수습되지 않는 모양새”라며 “담당 부서에서 여러 측면을 감안해 결정했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재취업 길이 막힌 1·2급 직원들이 이직하지 않고 남아 있는 게 변수가 됐을 거란 분석도 나온다.

금감원은 민간 금융사로의 이직이 잦은 기관 중 하나다. 감독기관에서 근무한 이력은 피감기관인 금융사로 이직 시 큰 이점이 된다.

다만 공직자윤리법상 취업 심사 대상자는 퇴직 전 5년간 소속 부서(2급 이상은 소속기관) 업무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기업으로의 이직이 3년간 제한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그간 금감원 직원들의 금융사 이직이 많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들었다”라며 “재취업심사 기준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부 지침이 강화됐다고 추측하는 시각이 많다”고 말했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