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신한증권 1300억 손실, 회사도 엄벌할 것”

“문제점과 원인 충분히 파악” 수직·수평적 통제 모두 미비 고려아연 불공정 의혹 연루된 미래에셋증권도 신속히 점검

2024-10-31     박이삭 기자
31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이삭 기자)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신한투자증권의 1300억원 손실 사태에 대해 “개인적인 문제는 당연하고 조직적인 문제도 굉장히 크다”고 지적했다.

31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그는 이같이 강조하며 “신한투자증권의 문제점과 그 원인 등이 충분히 파악됐다”고 말했다.

함 부원장은 “개인이 사고를 친 데다 공범도 있기 때문에 개인적 일탈은 당연한 것”이라며 “수직적인 견제, 이를테면 (윗선의) 팀장과 부장이 (손실 사태를) 공모했다면 수직적 통제를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리스크나 컴플라이언스 등 부서에서 이런 걸 제어하는 기능이 작동하지 않았다면 수평적으로도 통제가 안 된 것”이라며 “회사에서 수직적·수평적 통제 미비가 동시에 일어난다면 회사의 치명적인 문제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것이 신한투자증권만의 문제인지 금융투자업 전반의 문제인지는 따져 봐야겠지만, 우선 신한증권의 경우 두 가지 측면에서 심대한 문제점이 노출됐다”고 했다.

함 부원장은 “허위로 문서를 작성하거나 손실을 은폐하는 등의 방법이 워낙 나빴기 때문에 개인적인 처벌은 굉장히 셀 것”이라며 “조직적인 문제점이 크기 때문에 (회사에 대해서도) 조치를 강하게 할 수밖에 없다”고 예고했다.

이 자리에서 함 부원장은 신한투자증권의 내부통제가 전반적으로 허술했다고 연이어 지적했다.

그는 “대개 증권사의 LP(유동성공급자) 부서는 위험을 회피하는 헤지 역할을 하는데 1300억원 손실 사태가 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증권사별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신한투자증권을 자꾸 나쁘게 보는 것 같긴 하지만 그런 통제가 안 되는 회사가 있고 굉장히 치밀하게 통제를 하는 회사도 있다”며 “LP들의 잘못된 행태들이 과거에도 간혹 일어나 검사도 했지만 이번에 특히 큰 손실이 났다”고 말했다.

아울러 함 부원장은 고려아연 공개매수·유상증자 과정에서 미래에셋증권의 불공정 혐의가 있는지 최대한 빨리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고려아연의 공개매수 사무취급자로 나선 데 이어 유상증자의 모집주선인으로도 이름을 올렸다.

함 부원장은 “공개매수와 유상증자가 동시에 진행된 과정 등에 있어 법 위반 여부에 대해 신속히 점검하겠다”며 “고려아연의 부정거래 혐의가 성립한다면, 증권사 역시 그 사실을 알거나 방조했을 경우 처벌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대한금융신문 박이삭 기자 gija824@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