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임단협 하세월…노사 내홍 고조
10차례 이상 실무교섭에도 협상 결렬 사 “수용 가능한 새 합의점 도출해야” 노 “그간 진전 없어…원장 면담 요청”
금융감독원 노사 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갈등이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유석 금감원 노동조합위원장은 지난 13일부터 금감원과 금융위원회, 국회 등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금감원 ‘2024년 임단협’ 합의안이 해를 넘겨서까지 도출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임단협 내용에는 임금, 근로조건 등 직원 처우 개선을 위한 세부 조건들이 포함돼 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임단협은 현재까지 매듭을 짓지 못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시간외수당 자제령’ 등 여러 현안에 밀려 지지부진하다가 12월이 돼서야 논의가 재개됐다.
이후 올해 1월 말까지 10회 이상 교섭을 진행했지만, 여전히 노사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모습이다.
정 노조위원장은 본지에 “실무교섭 합의 결렬 이후 이세훈 수석부원장과도 면담했지만, 수석부원장은 다시 실무교섭을 통해 합의안을 도출하라고 주장한다”라며 “실무에서 협의가 안 돼 윗단으로 올라간 건데, 실무에서 결정하라 그러니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쟁점이 뭔지 회사는 알고 있다. 노조는 사측에 근로조건 관련 요구사항을 명확히 전달한 상태”라며 “이에 최고 결정권자인 이복현 원장께 면담을 요청하는 바”라고 강조했다.
반면 사측은 충분히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었음에도, 노측이 요구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아 교섭이 불가한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금감원 총무국 관계자는 “당초 협의가 긍정적으로 진행되다가 막판에 노조 측에서 반대하면서 최종 합의가 결렬됐다”라며 “실무교섭을 재차 진행하자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금감원 임단협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지속적으로 진행돼오다가 지난해 공백이 발생했다.
임단협 노사 합의사항은 크게 급여, 복지, 인사 부문으로 나뉜다.
‘2023년 금감원 임단협 합의사항’을 보면 직원 임금은 총인건비 기준으로 1.2% 내에서 인상됐다. 단, 1급 이상(임원급) 직원은 동결했다.
복지부문에는 “금감원은 직원 건강관리 강화 및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는 조건이 삽입됐다.
인사부문엔 △정기인사 이후 2개월 이내에 공모직위제 운영 계획 마련 △2024년 중 직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 등의 조건이 명시됐다.
한편 금감원 직원 임금은 공무원 및 공공기관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받아 지난해 2.5%, 올해 3% 인상됐다.
작년 말 기준 금감원 직원 총 2400여명 중 인사·감사·급여·복지업무 담당자를 제외한 노조 가입원은 1400여명이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