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민 깃플 대표

최근 다시 금융 시장의 파고(波高)를 불러올 소식이 전해지고 있어 화제다. 누군가에게는 마냥 반갑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치열한 고민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그 주인공이다.

보험업계가 요청한 청구 간소화처럼 ‘해묵은 숙원사업으로 그치는 게 아닐까’라는 우려를 낳기도 했지만, 상황은 달라졌다.

다시 불을 지핀 곳은 국회였다. 그 내용을 보면 여·야 할 것 없이 모두 ‘대환대출 플랫폼 출범’을 두고 한목소리를 낸 것인데, 금융당국을 향한 ‘신속한 추진’ 당부도 잊지 않았다. 지난해 본격 추진됐으나 플랫폼 제공 사업자를 채 선정하지도 못하고 중단된 지 1년여 만이다.

여기에는 지난해와는 사뭇 다른 금리 환경도 한몫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빅스텝, 그리고 그 빅스텝을 넘는 자이언트스텝을 두고 한국 역시 ‘저금리 시대’에 안녕을 고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20년 5월 0.50%였던 기준금리는 올해 1월 1.25%로 오르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4월 1.50% △5월 1.75% △7월 2.25%로 인상되면서 고금리 시대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연이어 인상 카드를 꺼내면서 각 가계의 상환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기준금리는 곧 매월 상환해야 하는 이자부담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물가·저성장이라는 이중고를 앞에 두고 맞이한 금리 인상 소식은 당장 현실을 팍팍하게 했다. 가뜩이나 무거운 채무를 두고 이자의 무게를 더하는 꼴이 됐기 때문이다. 심지어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 비중이 더 높은 만큼 개인적 문제라고만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렇듯 하나의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금융당국과 금융사는 힘을 모아 나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당초 지난 7월 15일까지 한시 판매 예정이었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상한 특약의 연장이다.

특히 개별 은행에서는 가입기간과 더불어 혜택을 늘렸는데,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의 경우 해당 특약의 가입비용 자체를 1년간 한시적 면제에 나서는 등 더 적극적인 고통분담에 나서기도 했다.

금융사가 아닌 핀테크 업계에서도 지난달 상당히 고무적인 행보가 포착됐다.

자체적으로 은행, 저축은행 등의 대환 상품을 비교해 손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대환대출 서비스가 출시된 것이다. 연일 대환대출 플랫폼과 관련된 멘트가 언급되면서 추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핀테크업계에서 선제적인 움직임이 포착된 것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다양한 경우의 수를 내포하고 있다. 단순하게 시행되느냐 마느냐를 두고도 ‘온도 차’가 엄청난데, 그 면면을 들여다보면 각 입장이 다 다르다.

우선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본다면 두 팔 벌려 환영할 일이다. 보다 유리한 대출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사’ 입장에서는 고객 이탈의 위험성이 있다.

그렇다면 ‘핀셋N’ 같은 핀테크사의 입장은 어떨까? 개인적으로는 여러 가지 입장과 감정이 교차하는데, 우선 큰 틀에서는 최근 속도감 있게 전개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 소식이 반갑다.

다만, 플레이어 중 한곳으로 경쟁해야 하는 부담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출비교 시장 자체가 경쟁이 심화돼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플랫폼 플레이어’로 합류하느냐 못하느냐는 업(業)의 명운을 걸고 있다고 봐야 하기 때문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을 희망하는 다수의 핀테크사 역시 비슷한 입장일 것이다. 해당 서비스를 자사의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면 경쟁우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겠지만, 만약 이름을 올리지 못한다면 업의 본질을 고민해야 하는 순간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