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연.지연보다 능력위주로 인사해야 마땅

해마다 12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는 지방 지주사 및 자회사들의 CEO와 임직원들의 정기인사가 이뤄진다. 

하지만 임원이 연임을 하거나 직원이 임원이 되려면 우선적으로 지주 회장의 눈에 들어야 한다, 그래서 후보군은 회장에게 눈도장을 찍어야 되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학연·지연만으로 임원에 선임이 돼 함량 미달된 임원들이 있다는 점에 있다.

A 지주를 보면 회장과의 동문이라는 이유로 은행에서 임원직을 4년 동안 유지하고, 자회사에 가서도 임원을 한데다, 또 다른 자회사로 이동해 현재 CEO까지 하며 승승장구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반면 능력이 있지만 회장과 학맥이 달라 임원에 선임되지 못한 인사도 있다.

한 자회사 CEO가 임원으로 승진을 추천했으나 지주 회장이 단호히 안 된다고 거절한 일도 있었다.

본지의 기자가 자회사의 CEO 등을 만나 취재한 결과 임직원 인사에 대해 계열사 대표는 어떠한 권한이 없는 게 현실로 전부 회장 의사에 의해 독단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 자회사에서 4~5년간 대표이사로 일했던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은 직원의 부서 이동 뿐이었다고 토로하며, 이 같은 실정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지주사 사정도 마찬가지로 자회사 임원들의 인사를 회장이 하고 있어 부당함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었다. 심지어 직원들의 인사까지도 특혜를 주는 등 개입을 해 1~2년의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능력이 풍부한 모 부점장은 명퇴 시기를 앞두고 혹시나 임원선임 제도가 바뀌거나 회장이 교체된다면 임원에 선임이 될까 싶어 지난해 명퇴를 하지 않고 버티어 왔는데, 실정이 개선되지 않아 올해 퇴직을 해야 한다며 아쉬워하는 일례도 있었다.

이와 같이 지주사 회장의 인사권한 남용은 CEO는 물론이고 임직원 모두가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회장은 능력 있는 인물이 선임될 수 있게끔 제왕적 권력을 내려 놓고 공정한 인사 체계를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