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효석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2021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970년 교통사고 통계 집계 이후 최초로 3000명 이하로 낮아졌다. 최근 5년 교통사고 발생 건수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는 한편, 우리나라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20% 이상으로 2025년 진입 예상)로 변모하고 있다. 교통안전 선진국으로의 도약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이기도 하다. 

실제 경찰청에서 최근 발표한 교통사고 현황을 보면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비중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절대 발생 건 수 또한 비고령운전자 사고와 달리 증가하고 있다. 사고 심각도 또한 높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치사율은 비고령운전자 사고 대비 1.7배 높게 나타났다. 고령보행자 사고는 더 심각해 고령보행자 사고 치사율은 비고령자 대비 4.1배나 높았다.

우리나라 고령자 교통사고는 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일까. 단순하게 인구통계학적 고령인구 증가 하나만으로는 설명하긴 어렵다고 판단했다. 필자가 속한 연구소에서는 KOSIS국가통계, 경찰청 및 보험사 사고자료, 기상청 정보 등 사회경제적 지표와 교통안전 자료를 모델링해 17개 광역지자체별(8개 특별·광역시, 9개 광역자치도) 고령운전자 및 고령보행자 사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봤다.

분석 결과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령인구비율'이다. '고령인구수'보단 고령인구 밀도 즉,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령운전자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면허 자진반납 수'도 교통사고를 감소와 상관관계가 컸는데, 지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고령운전자 1000명 반납 시 교통사고는 최대 100건까지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고령인구수, 자동차 등록대수 등의 순서를 보였다.

고령보행자 교통사고 영향 요인은 고령운전자와는 조금 다른 결과가 나왔다. 고령자 직업종사자 수가 가장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고령인구수, 고령인구비율, 이륜차 신고대수, 강수량, 운전면허 자진반납수, 자동차 등록대수 순으로 높은 영향을 보였다.

여기에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고령자 교통안전 대책 수립을 위해, 광역지자체별 고령자 교통사고 유효 영향 변수를 활용해 2026년 고령운전자 및 고령보행자 사고발생 건도 예측해봤다.

그 결과, 고령운전자 사고는(A보험사 사고접수 건 기준) 2021년 대비 53.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광역지자체별로는 8개 특별·광역시의 경우 평균 57.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 가운데 대전광역시 증가율(62.2%)이 가장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9개 광역자치도의 경우 평균 50.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 가운데 경기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54.2%로 예측됐다.

고령보행자 사고는 고령운전자 사고보다 다소 낮은 증가율이 예측됐는데, 오는 2026년 은 2021년 대비 37.1%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8개 특별·광역시의 평균 증가율은 29.4%로 나타났으며 이 중 세종특별시를 제외하면 서울특별시가 가장 많이 증가(33.9%)할 것으로 예측됐다.

9개 광역자치도 중에서는 전라북도가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는데 2021년 대비 50.0%가 증가해 평균 증가율 44.0%보다 6.0%포인트 높았다.

고령자 교통안전 확보는 우리나라가 교통안전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핵심 당면과제이며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현재, 더 이상 좌고우면하며 미룰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각각의 지역별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교통안전 대책을 수립해 고령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고 안전하게 걸어 다닐 수 있는 보행환경이 구축된 나라, 고령자의 이동권과 안전을 위한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진 교통안전 선진국으로의 조속한 변모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