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에 위험가중자산 감소
당국 “손실흡수능력 확충 추진”

국내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전분기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에 견준 원화 가치가 오른 덕에 위험가중자산이 줄어든 덕이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12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총자본비율은 15.25%로, 3개월 전보다 0.41%포인트 상승했다.

총자본비율은 은행의 총자본(분자)을 위험가중자산(분모)으로 나눈 값이다. 비율이 높을수록 건전성이 좋다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해당 비율이 줄었다는 것은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늘었다는 걸 의미한다.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 단기자본비율은 각각 12.57%, 13.88%, 6.18%였다. 역시 전분기 대비 각각 0.31%포인트, 0.38%포인트, 0.11%포인트씩 올랐다.

다만 전년동기대비로는 총자본비율의 경우 0.28%포인트 하락했고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도 각각 0.42%포인트, 0.30%포인트 낮았다.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이 상승한 것은 결산배당 등 공제항목 증가 등으로 인해 자본이 감소하기는 했지만 환율하락 등에 따른 외화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감소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더욱 큰 폭으로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총자본은 전분기대비 1.4%(4조6000억원) 감소했으며 위험가중자산은 4.0%(89조1000억원) 줄었다.

국내 은행은 보통주자본 7.0%, 기본자본 8.5%, 총자본 10.5%의 규제비율을 지켜야 한다. 여기에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D-SIB)은 1%포인트의 규제비율이 추가된다. 단순기본자본 규제비율은 3.0%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든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상회했다.

5대 금융지주에서는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금융(16.16%), 신한지주(15.99%), 농협지주(15.73%), 하나금융지주(15.67%), 우리금융지주(15.30%)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금융지주사 소속이 아닌 은행 중에서는 씨티은행(20.72%), SC은행(17.83%) 등 외국계 은행의 총자본비율이 높았다.

인터넷은행은 카카오뱅크(36.95%), 케이뱅크(13.94%), 토스뱅크(11.49%) 순이었다. 다만 토스뱅크의 경우 올해까지 바젤Ⅰ 적용으로 완충자본과 단순자기자본비율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으로 은행권 우려가 커진 가운데 금감원은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계속해서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자본비율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에 대해서는 자본적정성 제고를 유도하는 한편 은행이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기자본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기대응완충자본(CCyB) 부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도입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금융신문 안소윤 기자 asy2626@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