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의 시제품, 젊은 고객 오프런 현상 일으켜
2024년 만 3년 숙성한 정식 제품 출시할 계획

지난해 3차례 파일럿 제품을 출시하며 젊은 위스키마니아를 줄서도록 만들었던 ‘김창수위스키’가 내년에 만 3년된 위스키를 출시한다. 새로운 증류소 계획을 세우고 있을 만큼 위스키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김포의 김창수위스키 증류소에서 김창수 대표가 향후 계획을 설명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3차례 파일럿 제품을 출시하며 젊은 위스키마니아를 줄서도록 만들었던 ‘김창수위스키’가 내년에 만 3년된 위스키를 출시한다. 새로운 증류소 계획을 세우고 있을 만큼 위스키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김포의 김창수위스키 증류소에서 김창수 대표가 향후 계획을 설명하는 모습이다.

‘김창수위스키’가 무르익어가고 있다. 내년이면 만 3년이 된다. 김창수 대표는 3년을 꽉 채워서 그가 만든 정식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다. 어떤 타입일지, 어떤 방식으로 만든 것일지, 그리고 어떤 오크통에 숙성시킨 것을 담을지 지금 상황에선 결정된 것이 하나도 없다고 김 대표는 말한다. 시기마저도 그렇다고 한다.

답은 만 3년이 되었을 때 그의 위스키가 어떻게 말을 걸어오느냐에 달렸다. 경기도 김포에 있는 증류소 숙성 공간에는 욕심꾸러기 천사들이 많이 사는지 오크통들은 첫해에 평균 10% 정도를 천사의 몫으로 내놓는다고 한다. 사계절이 뚜렷해 오크통의 수축과 팽창이 극적으로 이뤄져 나타난 결과라고 한다.

이에 반해 스코틀랜드의 오크통은 착한 천사들이 사는지 한해에 1.5% 정도만 휘발된다고 한다.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만큼 숙성된 위스키의 술맛도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국제적으로 위스키의 기준은 만 3년을 오크통에서 보낸 술을 말한다. 천사의 몫에서 보이는 차이는 같은 3년을 보낸 위스키라도 숙성의 정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김창수위스키를 포함한 K-위스키의 가능성이 바로 숙성의 미학에서 올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 출시했던 파일럿 제품 3종류 중 두번째 버전의 위스키다. 몰트와 효모, 심지어 오크통까지 모두 국내산으로 만들었다. K-위스키의 자존심을 고려하며 만든 술이다. 외국산 위스키와는 전혀 다른 향을 지녔다.
지난해 출시했던 파일럿 제품 3종류 중 두번째 버전의 위스키다. 몰트와 효모, 심지어 오크통까지 모두 국내산으로 만들었다. K-위스키의 자존심을 고려하며 만든 술이다. 외국산 위스키와는 전혀 다른 향을 지녔다.

김창수위스키는 지난해 모두 3번의 파일럿 제품을 내놓은 바 있다. 첫 제품은 숙성기간이 짧은 만큼 우리 기후가 많이 반영된, 스카치 방식의 위스키였다고 한다. 김창수 대표는 이 제품을 통해 “우리가 스카치위스키와 경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고 말한다. 

두 번째는 국산 원료로 만든 국산 위스키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싶어서 몰트와 효모, 오크통까지 모두 한국산을 사용한 술이었다. 맥아는 군산시에서 운영하는 군산몰트, 오크통은 충북 영동산 오크통이었다. 세 번째는 첫 번째와 유사한 시제품이었다. 정통 스카치위스키와의 경쟁, 이 문제는 김창수 대표가 내려놓을 수 없는 인생의 화두일 것이다. 

그가 내놓은 세 번의 질문에 대한 시장의 답은 분명했다. ‘오픈런’. 그의 술을 사기 위해 밤을 새워가며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젊은 고객들이 그의 술에 환호한 결과였다. 재판매가 불가능한 우리 술 시장이지만 일부는 2차 시장에서 몇 배의 웃돈이 붙어서 판매되기도 했다. 

위스키의 전통적인 소비자층은 중장년층이다. 그런데 국산 위스키의 오픈런은 젊은 MZ세대가 일으킨 현상이다. 만 3년이 되지 않은 그의 술에서 젊은 소비자들은 무엇을 발견한 것일까. 국산 위스키의 가능성을 넘어서는 원인이 이 시장에 있을 것이다. 새로운 술에 대한 호기심도 있겠지만, 오픈런 현상을 설명하기엔 충분하지 않다. 

위스키를 대하는 젊은 소비자들의 반응은 기성세대의 그것과 큰 차이가 있다. 우선 그들은 열심히 노력하고 고생한 자신에게 보상하는데 인색하지 않다. 그리고 의미 있는 자리에는 그에 걸맞은 술을 마시려는 가치도 부여할 줄 안다. 그렇게 모인 결과가 ‘보상소비’이고 ‘가치소비’다. 

젊은 MZ세대의 이 같은 소비성향이 보인 오픈런 현상은 김창수위스키에 대한 일반의 관심까지 증폭시켰다. 여러 지자체와 그리고 기업체들이 김 대표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그는 독립증류소라는 꿈을 저버릴 생각이 없다. 자본의 입김 아래 들어가면 그가 만들고 싶은 위스키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그는 상상력의 제한을 받지 않는 증류소를 만들고 싶어 한다. 

하지만 김포의 증류소는 이미 포화상태를 넘겼다. 증류소의 핵심은 숙성 공간인데 이미 다 찼기 때문이다. 그래서 올해는 어떻게든 새로운 증류소를 만들어야 한다. 김창수위스키의 버전2가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재무계획도 풀어야 할 숙제다.

그런데 급해 보이지는 않는다. 풀어야 할 과제는 늘고 있지만, 그는 여전히 증류를 하고 있고 오크통을 관리하고 있다. 새로운 증류소에 대한 기본 개념도 다 잡아놓았다. ‘독립증류소’를 지향하는 만큼 증류기의 크기를 키울 생각도 없다. 효율성을 생각하면 큰 증류기가 필요하지만, 그는 작은 증류기가 더 좋은 위스키를 만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증류소를 새로 만들어도 작은 증류기를 여러 대 둘 생각이라고 한다. 

내년이면 그가 스코틀랜드의 증류소 기행을 한 지, 만 10년이 된다. 그의 10년 공부의 결과가 내년에 선보일 위스키에 담기게 된다. 김창수위스키의 버전2도 내년에 선보일 위스키와 함께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승호 편집위원 skylink999@gmail.com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