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현 지방총괄 취재본부장.
박민현 지방총괄 취재본부장.

최근 지방은행들이 각종 내부통제 부실 이슈에 휘말리며 시끌시끌한 분위기다.

BNK경남은행에선 부동산PF 대출을 담당하던 직원의 대규모 횡령 사건이 터졌다.

서울 소재 경남은행 부동산투자금융부 부장을 맡던 이모씨는 지난 2007년부터 15년간 562억원에 이르는 돈을 횡령했다.

이모씨는 올해 1월 투자금융기획부 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이때까지도 경남은행이 횡령사실을 몰랐다는 건 납득이 가지 않는다.

지난 4월 1일 부임한 예경탁 은행장은 큰 도둑이 있단 사실을 지난달 18일이나 돼서야 알았고 이틀 뒤 지주 측에 보고해 뒤늦은 진상파악을 시작했다.

BNK금융그룹의 전신인 BS금융은 지난 2014년 5월 우리금융그룹에서 분리된 경남은행을 1조2269억원에 인수해 같은 해 10월 BNK금융그룹에 편입했다.

BS금융은 경남은행 인수 당시 노조와 ‘원 지주 투 뱅크(1개 지주, 2개 은행)’ 체제를 유지한다고 약속한 바 있으나 이후 경남은행 실적이 추락하자 부산은행과 합병론이 나오곤 했었다. (본지 2019년 11월 11일자 ‘[단독] 애물단지 된 경남銀...부산銀과 합병 논의 시작되나’ 참고)

그러나 지난 2015년 6월 3223억원의 주식교환으로 경남은행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고 같은해 9월 1500억원 출자, 2016년 2월 2500억원 출자 등 10년간 8차례에 걸쳐 총 1조9000억원을 투자 했으나 배당으로 거둔 건 고작 7000억원이다.

경남은행은 이번 횡령 사고 금액 562억원 중 305억원을 지난해 영업손실로, 101억원은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로 이미 반영했다고 한다.

그런데 예 은행장이 7월 18일에나 사고사실 알았다는 걸 누가 과연 납득할 수 있을까.

한 BNK금융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전례 상 횡령 사고 회수 금액은 7% 미만이라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주주는 이번 기회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합병을 해야만 경비를 절감하고 본점 인력 약 800여명을 수도권에 집중 투입해 보험업 등 다채로운 사업을 영위, 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에 경남은행 한 간부는 부산은행과 합병 시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과 시 군 금고들이 대거 이탈할 가능성이 크고, 약 3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는 부산은행이 손해를 감수하며 인수 금액을 낼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BNK금융그룹은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전산시스템 통합 승인을 금융위원회에 요청 했으나 금융위원회에선 검토해 보겠다는 원론적 입장만을 표명하고 있다.

이에 전산시스템 통합에 약 1조원의 예산이 들것으로 예상됐는데, 현재 이미 2조원이나 들어간 상태라는 후문이다.

한편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은 562억원 횡령 사건에 대해 자회사 대표들과 함께 주주 및 고객에게 사과하며 경남은행의 조치가 미흡하면 특단의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경남은행은 16일 현재 정용운 투자금융본부장 단 한 명만 직무에서 배제한 상태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