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연구기관장 간담회 개최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18일 금융위-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내년도 금융시장 여건 및 금융정책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사진=금융위)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18일 금융위-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내년도 금융시장 여건 및 금융정책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사진=금융위)

올해에 이어 내년 금융권 리스크 역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가계부채로 지목됐다.

금융위원회는 18일 오후 서울 중구 금융연구원에서 ‘금융위-연구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23년은 금융시장 여건이 녹록지 않았음에도 연구기관, 관계부처, 금융권의 공동노력으로 헤쳐나가고 있다”며 “부동산 PF, 이미 높은 수준인 가계부채 등 잠재 취약 요인들로 인해 여전히 불안 요인이 잔존하고 있으므로, 잠재위험에 대한 엄격한 관리와 서민·자영업자 등 민생경제의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기관장들도 공통적으로 부동산 PF와 가계부채를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코로나19 기간 누적된 가계대출, 중소·자영업자 대출, 부동산 PF대출 등 부채의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단장은 "부실이 심각한 부동산 PF대출은 단기간에 해소하기 어려우므로 사업성을 기준으로 생존 여부를 판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내년 국내경제에 대해 글로벌 교역 개선에 따라 수출은 증가하나 고금리 장기화의 여파로 내수 회복은 더딘 ‘불균형적 회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금융산업의 경우 저성장 기조와 고금리 장기화로 업황이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한계기업과 확대에 대비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단 주장도 제기됐다.

박태상 IBK경제연구소장은 “현재 은행업은 성장성과 수익성이 둔화한 상황이며, 기업 부실 대응을 위한 건전성 관리가 최우선 과제”라며 “이를 위해 유동성 위기 기업군 선별 지원, 기술금융 제도 개선, 수출 중소기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동환 KB경영연구소장은 “기후변화,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구조적 변화의 적응 과정에서 금융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집중하는 한편, 금융권 스스로 취약 차주 등을 위한 상생 금융과 내부통제 강화 등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짚었다.

금융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내년도 금융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