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3년 9월말 기준 금융업권별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사진=금융감독원)
22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3년 9월말 기준 금융업권별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사진=금융감독원)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는 주로 북미에 집중됐다. 

22일 금융감독원은 ‘23년 9월 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에서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비중은 전체 금융권 총자산(6800조9000억원) 중 0.8% 비중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투자 지역은 북미가 34조5000억원(61.1%)으로 가장 많고 유럽이 10조8000억원(19.2%)을 기록해 선진국 투자비중이 80% 안팎에 이르렀다. 아시아는 4조4000억원(7.9%), 기타 및 복수지역은 6조6000억원(11.8%)의 비중을 나타냈다.  

금융 업권별로 살펴보면 보험사의 잔액이 31조9000억원(56.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은행 10조1000억원(17.9%), 증권 8조4000억원(14.9%), 상호금융 3조7000억원(6.6%) 여전 2조2000억원(0.5%), 저축은행 1000억원(0.2%)으로 그 뒤를 이엇다. 

같은 기간 기준 단일자산 투자는 35조80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중 2조3100억원(6.46%)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9800억원 증가한 규모다.

EOD는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 또는 원금을 미지급했거나,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담보인정비율(LTV) 조건이 미달되는 경우를 말한다.

특히 복합시설에서의 EOD 발생 비중이 높았는데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복합시설의 EOD 발생 비중은 19.09%를 차지해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다.

금감원은 “선진국의 재택근무 정착 및 고금리 영향으로 직전 분기 대비 EOD 발생 자산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의 가능성이 커졌다”면서 “다만 국내 금융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하는 비율은 1% 미만이라 금융사의 손실 흡수 능력을 감안했을 때 투자 손실이 있더라도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향후 해외 부동산 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사의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 확충을 유도할 것이며 만기 임박 자산 등에 대해 금융사의 대응계획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금융신문 이현우 기자 lhw@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