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평균 피해액 1700만원…고액피해 급증
2030도 속은 정부 기관 사칭·대출빙자형 多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작년 보이스피싱 전체 피해자 수는 줄었지만, 1인당 피해액은 크게 늘었다. 특히 1000만원 이상 고액 피해자가 증가한 가운데 1억원 이상 초고액 피해사례도 231명에 달했다.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작년 피해액은 1965억원으로 전년보다 514억원(3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피해자의 지급정지 및 피해구제신청을 받아 피해자에게 환급된 규모는 652억원이다.

주요 사기유형별 비중은 대출 빙자형 35.2%, 가족·지인 사칭형 메신저 피싱 33.7%, 정부 기관 사칭형 31.1%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139억원) 및 30대(+135억원) 피해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50대(560억원, 29.0%) 및 60대 이상(704억원, 36.4%)은 전 연령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보이스피싱 사기에 이용된 계좌 중 은행 계좌를 통한 피해금 입금액이 1418억원으로 여전히 높은 비중(72.1%)을 차지했다.

지난 2022년 급등했던 인터넷전문은행 비중은 10% 이상 크게 감소했지만, 상호금융조합 등 중소 서민금융권을 통한 피해금 입금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는 풍선효과를 보였다. 

작년 보이스피싱 피해의 주요 특징은 천만 원 이상 고액 피해자 증가했다는 데 있다. 그동안  정부·금융업계 피해 예방 노력으로 총피해자 수는 감소했지만, 1억원 이상 피해 및 천만 원 이상 피해 입은 고액 피해자가 증가했다.

특히 1억원 이상 초고액 피해의 경우 정부·기관 사칭형 사기 수법에 당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경우 1인당 피해 금액 역시 2억3000만원 규모로 가장 높았다.

또 다른 특징은 연령별 사기 피해 수법 차이다. 20대 이하는 기관 사칭, 30·40대는 대출 빙자, 50·60세대는 가족·지인 사칭이란 점도 주목할만하다. 

사회초년생인 20대 이하 피해자 대부분은 정부 기관 사칭형 사기 수법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생활자금 수요가 많은 30·40대는 금융회사를 사칭해 기존 대출 상환 또는 수수료 선입금을 요구하는 대출 빙자형에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50·60세대의 경우 전년 성행했던 가족·지인 사칭 관련 메신저피싱에 대한 경각심이 제고되면서 피해 규모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스미싱 '미끼문자'를 이용한 범행도 급증하는 상황이다. 정부·기관 사칭형 사기 피해가 모든 연령에 걸쳐 증가했는데, 이는 과태료 범칙금 납부, 택배 배송 조회, 모바일 경조사 알림 등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범행 시도가 급증한 데서 기인했다고 추정된다. 

과거에는 통화를 유도하는 미끼문자가 주를 이뤘지만, 이에 대한 국민의 대처능력이 제고됨에 따라 최근에는 URL이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활용하는 수법으로 진화했다. 

한편 금감원은 사칭·대출 빙자형 사기 수법 대응 강화를 위해 안심 마크('확인된 발신 번호') 표기 확대를 추진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개발·보급도 추진하기로 했다.

오는 8월 시행되는 개정 '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 따라 금융회사의 24시간 대응 체계가 마련되는데, 이에 대한 조기 안착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대한금융신문 서은정 기자 sej@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