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 부실…이해력 점수 ‘낙제점’
퇴직금융·경제인 활용 대책 마련 촉구

전국퇴직금융인협회가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이해력 점수가 낙제점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18일 전국퇴직금융인협회 부설 금융시장연구원은 금융브리핑 제4호를 발표하고 취약한 우리나라의 경제·금융교육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퇴직금융·경제인 등의 전문가 투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기획재정부 의뢰로 지난해 9월부터 11월, 18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2023 전국민 경제이해력’ 정도를 평가한 결과, 우리 국민의 경제이해력 점수는 58.7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직전 조사 때보단 2.4점 올랐으나, 여전히 60점에 미치지 못해 과락을 맴도는 수치다.

특히 우리 국민은 금융 분야 이해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기준금리 파급효과’항목이 35.3%로 가장 낮았다.

이어 정기예금(37.1%), 근로계약(43.3%), 온라인 거래(48.8%), 세금(49.3%) 순으로 이해도가 떨어졌다. 수요·공급 원리(79.2%), 재무관리(71.4%), 자산(69.4%), 연금(68.2%) 등은 그나마 이해력이 높은 편이었다. 

금융시장연구원은 학교 밖 교육 콘텐츠의 양적·질적 보강이 긴요하다고 지적했다. 금융·부동산 사기 등 경제환경이 열악,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경제 및 금융역량 배양이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특히 기준금리, 정기예금 등 이해가 취약한 주제에 대해서는 기본원리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이 바람직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경제·금융교육을 널리 홍보하고 국민 관심도를 제고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 다양한 금융교육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를 알지 못해 교육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꼬집은 것이다.

이에 금융브리핑 보고서는 경제나 금융은 전문 영역으로 교육은 전문가에 맡겨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했다. 정부가 교육 실행의 주체로 전면에 나서면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는 얘기다. 

권의종 금융시장연구원 박사는 “교육은 전문 영역으로 전문가나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한다”며 “정부가 교육 실행의 주체로 전면에 나서면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 그렇기에 정부는 금융 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사업을 관리하며 예산을 후원하는 조력자 역할에 그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안기천 전국퇴직금융인협회 회장은 “경제교육 전문인력이 부족하면 금융회사나 민간기업의 퇴직자를 활용하면 된다”며 “전국퇴직금융인협회가 양성한 금융해설사만 해도 1000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석·박사는 물론 경영지도사, 재무분석사, 경제·금융 컨설턴트 등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며 “이들은 지금도 1사1교 금융교육, 청년 경제아카데미, 자영업자·소상공인 맨토링, 금융취약자층 경제교육의 일익을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금융신문 서은정 기자 sej@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