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권역별로 총 13곳 선정

2년간 여론조사 등 도입작업
 
금융감독원이 유관기관 최초로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한다.

퇴직연금을 도입하기까지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2년에 걸쳐 인프라 구축 및 여론조사 등을 실시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제안서를 제출한 27개 퇴직연금사업자 가운데 13개 사업자를 선정, 지난달 30일 개별 통보했다.

선정된 사업자는 은행권역에 우리, 신한, 국민, 산업, 기업은행 총 5개사와 삼성, 미래에셋, 대우, 우리투자증권 등 4개의 증권사, 그리고 보험권역에 삼성, 교보, 대한생명과 동부화재 4개사다.

선정기준은 △경영안정성 △자산운용능력 △퇴직연금운영 능력 △감독정책 및 대외만족도 등이다.<본지 9월 28일자 1면 ‘금감원 퇴직연금수주 혈안’ 제하의 기사 참조>

금감원은 퇴직연금 도입을 위해 회사 대표 4명과 노동조합 대표 4명 총 8명으로 구성된 퇴직연금위원회를 마련했다.

퇴직연금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퇴직연금 도입은 직원들의 적극적인 호응 속에서 진행됐다”며 “관련 의견조사 시 직원의 70% 이상이 도입을 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2년 전 임금동결이 이뤄지면서 직원들이 마련한 자구책이기도 하다.

관계자는 “급여동결에 따른 손실부분을 만회하기 위한 방안으로 퇴직연금을 선택한 것”이라며 “DB형의 경우 최소 3~4%의 수익률을 챙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IMF 당시 누진제가 폐지된 상황에서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메리트로 작용한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퇴직연금 도입에 따른 근로복지 축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퇴직연금위원회는 “전체 퇴직적립금 가운데 70%를 퇴직연금에, 30%를 기존의 퇴직금에 배정, 향후 퇴직연금 비중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퇴직연금사업자 선정부터 통보까지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금감원 박상준 팀장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퇴직적립금 규모는 약900억원 수준”이라며 “이정도 규모의 경우 일반적으로 퇴직연금사업자 2~3곳 정도를 선정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원이 퇴직연금을 관리·감독하고 있는 상황에서 배제된 업권에 대한 반발 등을 고려해 각 업권별로 다수의 사업자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금감원 퇴직연금사업자 선정이 향후 다른 공공기관의 사업자 선정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며 파급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일체 부인했다.

〈尹惠鎭 기자〉yhj@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