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지주 회장에 강만수씨 내정

민영화 맞물려 대형합병설 난무
 
<대한금융신문=차진형 기자> 산은금융지주 회장에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강만수 위원장이 내정되자 메가뱅크론이 또다시 수면위로 부상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0일 강만수 위원장을 산은금융지주 차기 회장으로 임명 제청했다고 밝혔다.

산은지주 회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과 대통령 임명 절차를 걸쳐 오는 22일 주주총회에서 정식 선임될 예정이다.

경제부처 장관 출신이 산은금융지주의 수장이 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주회사 전환 이전인 산업은행 시절부터 은행장은 차관급 인사가 임명됐었다.

산은금융지주 회장으로 강만수 위원장이 내정되자 금융권은 벌써부터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유는 강만수 내정자가 기획재정부 장관시절 메가뱅크론을 주장한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메가뱅크론은 산은, 우리금융지주 외에 또다른 금융기관을 묶어 자산규모 500조 이상의 글로벌 대형은행으로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지난 2007년 서브프라임 사건으로 인해 미국내 글로벌 대형은행이 무너지면서 메가뱅크론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강만수 내정자의 등장으로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업계에선 벌써부터 여러 가지 합병 시나리오가 흘러나오고 있다.

우리금융지주와 산은금융지주는 모두 민영화를 목표로 다양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금융지주회사간 합병을 예상할 수 있다는게 업계 시나리오다.

우리, 산은금융지주 모두 정부가 대주주로 경영에 간섭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합병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산은금융지주 스스로 민영화해 독자생존할 수 없다는 점도 합병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지난해 말 산은지주의 예대율은 350% 내외로 100% 내외인 시중은행의 3배를 넘어선다.

즉 수신기반이 턱없이 부족해 정부 보증이 없으면 사실상 영업활동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지주회사간 합병 시기는 은행권보다 증권업계부터 촉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또다른 시나리오다.

각 지주회사 계열사인 대우, 우리투자증권을 먼저 합병한 후 자회사간 합병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우증권은 올해 지점 통·폐합 작업을 진행하는 중 우리투자증권과 합병설에 휘말리기도 했다.

한편 대부분 은행권 전문가들은 메가뱅크론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반대 이유는 시장독과점에 따른 금융질서 파괴, 국책은행 기능 상실 등이다.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의 국책은행으로써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며 “단순히 큰 규모를 갖춘다고 국익과 직결되진 않는다”고 밝혔다.

또다른 관계자는 “일본의 미즈호, 중국의 공상은행 등은 글로벌 50위안에 들지만 그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며 명성을 얻었다고 보긴 어렵다”며 “진정한 글로벌 플레이어를 키우기 위해선 특화된 상품, 해외시장 개척 등 틈새시장을 노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