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금융신문=김민수 기자>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의 경제개혁 정책 ‘리커노믹스’의 일환인 금융 선진화에 대한 경제 개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세계은행(WB)과 중국 국무원 산하의 발전연구센터(DRC)는 급격한 경기 둔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체 은행업 총자산의 약 45% 이상을 차지하는 국유은행을 민영화하는 등의 경제 개혁 방안을 구상 중이다.

가장 우선적으로 민영화 물망에 오른 곳은 중국은행(Bank of China)과 교통은행(Bank of Communication)이다.

현재 중국은행은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으며 교통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정부가 보유한 지분율이 이미 26.5%로 줄었다.

중국 정부는 이같은 국유은행 민영화를 통해 해외은행들이 중국에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정부보다 주주 이익에 부응하는 경영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은 민영은행도 설립할 방침이다.

실제 지난 1일 은행감독회가 올 하반기에 민영은행 설립 정책 세칙을 발표할 것이라 밝히면서 실질적인 설립 준비가 시작되고 있다.

‘제1호 민영은행’이 설립될 곳은 중국 베이징과 저장성 원저우가 가장 유력하다. 실제 원저우 중소기업발전촉진회 저우더원(周德文) 회장은 “원저우의 일부 민간자본, 기업들이 현재 민영은행 설립 준비에 한창”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저장성 타이저우, 푸젠성 취안저우, 광둥성 포산 선전 등에서도 민영은행을 설립할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민영은행을 통해 과학기술 및 창업, 혁신형 영세기업에 대한 금융서비스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경제 개혁안이 실행될 지는 아직 미지수다. 중국 은행과 관련된 규제자들이 국유은행을 민영화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올해 말 개최될 제18기 3중 전회에서 개혁안을 공개한다는 입장이다.

한 중국전문가는 “금융기관을 다원화함으로써 중국 금융시장을 활성화하고 대형 국유은행이 독점한 금융시스템을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