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론 치중 말고 새상품 출시해야

<대한금융신문=김민수 기자> 저축은행 업계가 구조조정 여파, 건전성 감독 강화 등으로 인해 힘겨운 상황이지만 그래도 서민금융기관의 본모습을 되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예전 같지 않은 어려운 환경에 맞닥뜨리면서 제 역할을 망각할 수 있어서다.

실제 저축은행 업계의 상황은 좋지 않다. 지난해 상반기(2013년 7~12월) 기준 당기순손실은 416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2142억원 줄어든 수치다.

총자산 역시 38조900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3조9000억원 줄었으며 지난 2008년 6월 말 기준 90.5%에 달했던 예대율은 2013년 9월 말 83.3%로 하락했다.

특히 러시앤캐시, 웰컴론 등 대형 대부업체가 곧 저축은행업 진출할 예정인 가운데 기존 저축은행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우려도 존재한다.

이들 대부업체는 특성상 소액신용대출 노하우가 풍부해 저축은행업 진출 이후 합리적인 금리체계를 마련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일부 저축은행은 경쟁에 밀려 퇴출당할 수도 있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관계자들은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의 본모습을 되찾기 위해선 새로운 서민금융상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저축은행은 정부가 보증해주는 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 취급에 치중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지난 2010년 햇살론 출시 이후부터 2013년 12월 말까지 총 1만6990억원을 대출해줬다. 이는 햇살론 취급기관 중 가장 많은 실적이며 출연금대비 31배나 많은 대출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금융권에선 이처럼 햇살론 취급에만 집중하고 새로운 서민금융상품을 출시하지 않는다면 결국 서민금융을 정책금융이 이끄는 꼴이 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구정한 연구위원은 “서민금융기관이 햇살론 등을 통해 영업을 확대하는 것은 서민금융 관련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일정 기간이 지났음에도 새로운 서민금융상품을 출시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구 연구위원은 “자체적인 서민금융상품 취급실적과 햇살론 공급을 연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