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정상화 반대 … 금융공기업만 참여

시중은행은 정상근무, 파업 영향 미미할 듯

<대한금융신문=차진형 기자>금융노조가 오는 30일 2차 파업을 예고했다.

하지만 시중은행이 빠지고 금융공기업만 참여하는 형식이어서 파업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2차 파업에 참여하는 금융공기업은 기업은행을 중심으로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6곳이다.

시중은행이 이번 총파업에 빠진 이유는 사실상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9.3 총파업 때는 △비정규직·무기계약직 차별 철폐 △모성보호 및 양성평등 실현 △정년연장, 통상임금 문제 해결 △성과문화 척결 등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관철시키기 위해 은행원들이 집결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에 반대하는 집회다.

정부가 공공기관 정상화를 진행하면서 공기업들의 복지혜택을 축소하니 국책은행을 비롯한 금융공기업에서 반발이 심한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 1차 총파업 당시에도 기업은행이 전체 직원의 25%가 참여하며 열성을 보였다.

반면 시중은행 입장에서는 정부의 복지축소보다 시급한 문제가 있다.

외환은행은 하나은행과의 통합문제, 우리은행은 민영화, 국민은행은 지배구조 개선 등 자기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는 게 급하다.

한 은행원은 “결렬된 임금단체협상의 요구안을 쟁취하기 위해선 모든 은행원이 동참할 수 있겠지만 정부가 진행하는 공공기관 정상화 때문에 파업을 진행한다는 건 납득이 가질 않는다”라며 “자칫 고객들에게 철밥통을 지키기 위해 파업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실 공공기관 정상화 문제는 금융공기업뿐만 아니라 전 공기업의 문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금융노조가 아닌 한국노총이 주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금융노조가 최후의 수단인 파업카드를 남발한다며 우려의 시선을 보냈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 노동조합의 최대 무기는 단결력이다. 이 때문에 파업을 진행했을 때 경영진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전 은행원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가운데서 총파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금융노조가 원하는 대로 협상을 주도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3일 총파업 때도 예상보다 저조한 참석률로 인해 큰 효과는 보지 못했다.

이날 농협은행 지부는 노조위원장 선거로 불참했고 신한은행 지부에서는 노조 집행부 20여명만 참여했다.

총파업의 큰 지지를 보냈던 외환은행은 금융노조와 별개로 ‘통합찬반’을 묻는 임시조합원총회를 개최했다.

즉 지금 상황에서는 흩어지면 죽고 뭉쳐야 산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