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파 對 비둘기파 의견 팽팽

뉴욕 연방 총재는 내년 내다봐

<대한금융신문=김민수 기자>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이하 연준)에서는 금리인상 시기를 놓고 저울질이 한창이다.

조기에 금리를 인상하되 점진적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매파’와 늦게 금리를 인상하되 시작한 후에는 급진적으로 밀어부처야 한다는 ‘비둘기파’가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매파 성향의 정책위원들은 △금융시장 안정 △복잡한 금리인상 메커니즘 △인플레이션 억제 등 3가지 논거를 제시했다.

만약 금리를 소폭 인상하면 급속한 신용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경기위축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최근 새롭게 가동 중인 금리체계를 통해 조기 금리인상 시 학습효과를 거쳐 금리 통제능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역RP금리 체계는 기존의 은행뿐 아니라 머니마켓펀드(MMF), 국채전문딜러, 모기지유동화기관 등 보다 광범위한 기관들이 공개시장조작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정책위원들은 조기에 금리를 올리는 것이 급속한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나 금융시장 거품을 차단하고 통화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반면 비둘기파 성향의 정책위원들은 △유동성 함정(zero-bound) △디플레이션 등 2가지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조기에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악화로 인해 금리인하 모드로 다시 전환된 후 재차 유동성 함정에 빠질 것이라 우려한다.

고용 및 물가 지표가 확연하게 나타나 경기회복국면 진입을 뒷받침할 수 있을 때까지 금리인상을 유보하는 전략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금리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출 경우 향후 인플레 기대심리가 형성되도록 유도해 ‘디플레이션 만성화→저성장→제로금리’의 악순환을 막을 수 있고 주장한다.

문제는 둘 중에 한 가지 전략을 선택한다 해도 문제점은 남아있다는 것.

조기에 금리인상을 시행할 경우에는 경기침체와 유동성 함정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면 금리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출 경우에는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결국에는 두 전략의 비용과 편의 측면을 고려해 최종적인 선택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경제이론을 통해서는 바람직한 해답을 찾을 수 없는 만큼 옐런 연준의장과 여타 정책위원들의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에 대한 진단 내지 판단에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연준의 2인자로 꼽히는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총재는 지난 7일 “내년 중반쯤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힌 바 있다.

더들리 총재는 연준의 통화정책을 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부의장직을 맡고 있으며 투표권을 쥔 18명 중 한명으로 영향력이 큰 인물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