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금융태도 면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이해력은 선진국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들은 노후소득보장 차원에서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교육방식을 통해 개인 스스로 연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연구원 김동겸 선임연구원은 “금융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노후준비 목표가 변경되고 제도 참여율과 기여율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므로 노후소득보장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령화로 인한 노후자산 부족 문제가 커지고 새로운 금융상품이 계속 등장하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합리적인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금융교육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OECD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소비자의 낮은 금융역량으로 심화되었다는 판단 아래 금융소비자 보호원칙을 제시했으며 금융교육을 통해 소비자의 금융이해력을 증진시키고 현명한 금융결정 및 행동을 유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OECD 금융교육 네트워크에서 제시한 목표치에 미달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의 금융이해력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연령이 늘어날수록 금융태도 점수는 증가하는 반면 금융지식과 금융행위 점수가 하락함에 따라 대한민국 60대 이상 고령층의 금융이해력 점수(54.4점)는 OECD에서 제시한 최소목표점수(66.7점)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의 노후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가입자 선택권이 높은 연금유형에 대한 교육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공적연금보다는 사적연금, 퇴직연금보다는 개인연금, DC형 연금보다는 DB형 연금 교육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계층별로는 연금가입기간이 긴 젊은층, 남성에 비해 기대수명이 긴 여성, 근로자에 비해 공적연금 이나 퇴직연금의 혜택이 취약한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교육수단으로는 연금가입조건, 기여금, 예상수령액 세제혜택, 수수료와 같은 정보제공과 은퇴세미나와 같은 교육 및 자문방식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김동겸 선임연구원은 “피교육자의 연령, 소득, 학력 등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금융교육방법에 대한 선호도 및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피교육자 특성을 고려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