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금융신문=강신애 기자> 라임자산운용 사태가 은행·증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7일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서 “실사 과정에서 운용자의 횡령, 수익률 돌려 막기, 대출 사기 사건 등이 알려지면서 라임자산운용 사태가 수면 위로 급부상 중이다”며 “이번 사태는 동양증권 CP사태, KB증권 호주부동산펀드 사태, DLF(파생연계펀드) 사태와는 차원이 다를 매우 중대한 사안으로, 은행뿐 아니라, 증권사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감독원은 라임자산운용 펀드 중 환매를 중단하거나, 중단 가능성이 있는 펀드가 총 1조56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중 개인 투자자가 투자한 펀드는 9170억원으로 절반을 넘는다. 

환매 중지된 펀드의 손실률은 최대 70%대로 추정된다. 손실 규모만 1조원이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다. 펀드런 사태마저 직면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6월 말 기준 5조7000억원을 기록했던 라임자산운용의 전체 운용 규모는 지난해 12월 말 4조4000억원으로 1조3000억원 줄어들었다. 

손실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높다. 라임 사모펀드의 65%가 중도 환매가 가능한 개방형인데다, 폐쇄형 역시 대부분 6개월 이내의 단기 펀드로 투자자 환매 지속시 운용금액 급감이 예상돼서다.  

서영수 연구원은 “사모펀드의 65%가 개방형인데다 폐쇄형 역시 대부분 6개월 이내의 단기로 환매 증가에 따른 손실이 늘어날 수 있다”며 “더욱이 단순 불완전 판매를 넘어 불법적 요소도 적지 않아 판매사의 손실 부담률은 DLF 사례보다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봤다. 

라임자산운용 문제가 자산운용업계 전체로 번질 가능성도 우려된다. 라임자산운용의 연쇄적 환매가 여타 사모펀드 운용사로 확산될 경우 개방형 비중이 높고 만기가 단기인 사모펀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운용사 간 차별화 요인으로 그간 라임 문제가 전체 사모펀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금융당국과 은행이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할시 문제 확산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CB 등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운용함에도 전문 사모펀드 업계의 개방형 펀드 비중이 51%로 높은 점은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사건은 국내 사모펀드 업계 최대 운용사와 대형 증권사가 연루돼 전체 금융투자업의 신뢰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부정적 요인이다. 

지난해 벌어진 DLF 사태에 이어 라임사태까지 연이어 터지며 국내 PB 시장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사모펀드 등을 통한 자산관리 수익이 은행 세전이익의 11%를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은행 수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서 연구원은 “작년 이후 호주 부동산 펀드 부실, DLF 사태, 라임운용 문제 등 연이어 금융사고가 터지고 있다”며 “여기서 판단해야 할 것은 이 사태에 대한 금융당국의 사후 대책이다. 이 사태가 금융 관행과 위험관리 방식을 개편해 금융산업이 미국 등 선진형 산업으로 진화할지 아니면 개발도상국과 같이 정부의 정책기관으로 전락할지 여부가 결정될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 단순히 현재 수익감소를 걱정해 ELS 신탁 판매를 요구하기보다 고객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