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기 좋잖아요. 저축은행이 시중은행 대비 네 배나 되는 이자를 취해서 먹고 사는구나, 얼마나 자극적이에요.”

최근 불거진 저축은행 폭리 논란에 대해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같이 말했다. 자조와 한숨이 섞인 목소리였다.

이달 초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저축은행과 시중은행의 수신금리와 대출금리를 비교한 금융감독원 자료를 공개했다.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저축은행의 대출금리에서 수신신금리를 뺀 예대금리 차이가 평균 7.8%고, 이는 시중은행 평균(1.9%)의 네 배에 달한다는 내용이었다.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했다.

파장은 컸다. 언론을 중심으로 비판이 이어졌고 금감원은 예대금리차가 과도할 경우 시장에 개입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지난주에는 일부 저축은행에서 수신금리를 올렸더니, 폭리 논란을 의식해 금리를 인상한 것처럼 비치기도 했다.

저축은행과 시중은행의 예대금리 격차는 당연하다. 저축은행은 1금융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신용자들이 주 고객층이다. 손실이 날 가능성이 더 높고, 이를 고려해 대출금리를 산정해야 한다. 실제로 지난 3분기 저축은행 자산 상위 5개 업체(SBI·OK·페퍼·한국투자·웰컴)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평균 4.0%로 시중은행(0.51%)에 비해 8배가량 높았다.

시중은행, 인터넷은행, 상호금융 등과 경쟁해 수신을 유치하려면 조달 원가도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비슷한 수준의 금리일 때, 1금융권이나 상호금융을 선호한다. 이에 저축은행은 보다 높은 수신금리를 책정하고 있다. 지난 10월 저축은행의 정기예금(12개월) 평균 금리는 2.25%로, 같은 달 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 1.29%와 비교하면 약 1%포인트 가량 높다.

예금에 대한 보험료도 저축은행이 가장 큰 비율로 부담하고 있다.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들은 예금보험공사에 수신금액의 일정 비율을 보험료로 적립하고 있는데, 저축은행에 적용되는 예보료율은 0.4%다. 이는 은행(0.08%)과 비교해 5배나 높다.

저축은행과 시중은행의 예대금리 차이를 단순 비교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당초 출발선부터 다르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라는 원죄를 안고 있다. 부실, 고금리 등의 꼬리표를 달고 있던 것도, 타업권 대비 높은 예보료율을 부담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들은 사회공헌, 건전성 강화 등을 통해 이미지를 쇄신하려 노력해 왔다. 그럼에도 폭리 지적이 10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보면, 세간의 인식은 아직 2011년에 머물러 있는 듯하다.

문재인 정부의 중금리 대출 활성화 정책과 코로나19로 인한 대출 수요 증가 때, 서민금융의 창구 역할을 담당했던 저축은행이다. 과오를 되새기고 반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공도 인정해야 한다. 색안경 정도는 벗고 바라봐 줄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