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금리상승에 수익성 악화
워크아웃 등으로 정상화 유도

2023년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기업 추이(표=금융감독원)
2023년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기업 추이(표=금융감독원)

올해 부실징후기업이 231곳으로 전년 대비 46개사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은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은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지난해보다 각각 34개사, 12개사 늘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9개사, 중소기업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은 코로나 기간인 지난 2020년~2021년 감소했다가 지난해 증가 추세로 전환했다. 이는 올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으로 기업의 연체 등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

특히 세부평가 대상이 많은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업(+7개), 도매·상품중개업(+6개) 등에서 부실징후기업이 급증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9월말 2조7000억원수준으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은행권 신용공여는 73.4%를 차지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이며, 이에 따른 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BIS)비율 변화폭 또한 미미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자구노력에 따라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예정이다.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해선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방침이다.

한편 신용위험평가에서 정상 기업은 A등급, 부실징후 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B등급,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실징후기업은 C등급,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부실징후기업은 D등급을 받는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