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은행 선도입했지만 확산 미지수
'비용 부담, 현실성 떨어진다' 지적도

<대한금융신문=염희선 기자>정부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도입을 통해 고용률 상승 의지를 밝혔지만 은행권 반응은 시큰둥하다.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외환, 농협, SC, 씨티은행 등 국내 주요 은행 인사담당자에게 '정년 보장형 시간제 일자리를 도입할 계획이 있는가'라고 질문한 결과 모든 은행이 도입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이 정년보장 시간제 일자리에 부정적인 이유는 이미 이와 비슷한 채용인력이 있는데 굳이 비용을 더 지불하면서까지 정년을 보장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신한은행은 이미 시간제 근로자 200여명을 운영하고 있어 더 이상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정년을 보장하거나 복지 수준이 정규직과 같지는 않지만 지점 업무를 지원하는데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농협은행도 여직원 출산 휴가 시 출산휴가 대체인력 470명과 비정규직 시간제 근로자 1500여명이 은행 업무를 지원하고 있어 정년 보장형 시간제 근로자 도입은 필요치 않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본부부서 및 영업점에서 일 단위 및 시간 단위로 임시 고용이 이뤄져 매달 200여명의 시간제 근로자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정부 시책에 맞춰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 인사담당자는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는 적극 동의하지만 정년 보장형 시간제 근로자를 뽑을 경우 기존 직원과 인사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현재 경영 상황도 녹록치 않은데 일자리 창출 문제를 은행권에만 떠넘기는 것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금융노조도 정년 보장형 시간제 근로자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먼저 정년 보장형 시간제 근로자를 시행한 기업은행은 정기적인 채용시스템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니며 한시적으로 40세 이상 퇴직 은행원을 뽑은 것이기 때문에 고용을 창출했다고 볼 수 없다"며 "오히려 정부의 무분별한 일자리 나누기 정책 때문에 제 때 취업해야할 청년들의 일자리가 반쪽짜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올해 들어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고 영업지점과 본사 인력을 줄이는 은행들이 잇따르고 있다.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50% 줄인데 이어 하반기 채용 역시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 머무를 전망이다.

국민은행도 올해 전체 채용 규모를 지난해 대비 25% 가량 줄였고 농협은행은 지난해 하반기 558명을 채용했지만 올해는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200명으로 규모를 축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자리를 쪼개는 것보다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먼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