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협회 김현석 자동차보험부장

▲손해보험협회 김현석 자동차보험부장

얼마 전 언론에 고급 외제차의 수리비가 4억6000만원이 나왔다는 사실이 보도된 적이 있다. 외제차의 수리비 수준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요즘 강남역 근처 도로를 지나는 차들 중 반이 외제차일 정도로 외제 차량의 수는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외제차의 과도한 수리비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보험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2011년 교통사고 사망자 평균 보상금이 1억300만원인데 반해 외제차 수리건의 평균비용이 대당 1억6000만원이라고 한다. 사람 목숨보다 비싼외제차 수리비다.

이같은 외제차의 높은 몸값 탓인지 대다수의 운전자들은 외제차가 나타나면 일부러 피해서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비싼 외제차를 운전하면 아주 당당하게 난폭운전을 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국산차를 운전하면 죄를 지은 듯 피해 다니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마치 도로 위에도 갑을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듯 싶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도로 위보다 자동차보험에서 외제차와 국산차의 불평등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외제차 평균수리비는 국산차의 3배를넘어서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험금 지급액은 매년 30%씩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전체 보험가입자가 낸 보험료에서 보험금을 지급하는 자동차보험 특성상 외제차 수리비를 국산차를 타는 다수의 일반 국민이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면 외제차 수리비가 비싼 이유는 무엇일까?

외제차에 대한 부품 유통이나 수리가 외제차를 수입·판매하는 직영딜러에 의해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유통비용이나 마진이 불투명한 것이 주된 이유다.

또한 조그만 흠집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부품을 통째로 교체하는 경향도 수리비가 과도하게 나오는 원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외제차 부품가격의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 외제차 수리 시 수리비에 대한 시간당 공임, 작업시간, 부품 정보 등 세부내역을 명확하게 공개토록 하고 외제차 판매업자가 차량을 판매할 때 해당 차종의 부품에 대한 가격정보 등을 의무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 소비자가 관련 정보를 알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판금이나 도장작업을 할 수 없는 경정비업체(퀵숍)에서 무분별하게 수리비 견적서를 발행하는 관행을 타파해야 한다.

나아가 외국처럼 자동차제작사가 자사차량에 대한 표준작업시간, 부품 도해도, 차대번호 등을 소비자에게 공개토록 한다면 합리적인 수리비 산정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있을 것이다.

외제차와의 사고는 우리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다. 따라서 정부, 보험업계, 정비업계 등 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 의지를 가지고 외제차 수리비가 합리적인 수준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