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은행 기술신용대출 누적 잔액 221조 돌파
전문인력·독자평가 모형 구축으로 부실 부담↓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은행권에 기술신용대출이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기술신용대출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해 이를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상품이다. 기술력은 있지만 설립한 지 얼마 안 돼 매출액이 작아 일반 기업 대출 이용이 힘든 창업기업이나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에 주로 활용된다.

26일 은행연합회 기술금융 종합상황판에 따르면 은행권의 지난 3월 기술신용대출 누적 잔액은 221조8679억원으로 전년 동월(173조7869억원) 대비 27.6% 증가하며 빠르게 쌓이고 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의 지난 3월 누적 잔액이 전년 동월보다 32.0% 상승한 33조132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 29조2448억원(△35.1%), 신한은행 28조5875억원(△23.9%), 하나은행 26조544억원(△31.6%)이 뒤를 이었다.

농협은행의 경우 지난 3월 누적 잔액으로 전년 동월(4조6673억원)과 비교해 78.5% 증가한 8조3326억원을 기록, 기술금융 취급 은행 중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기술신용대출은 일반 중소기업보다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리스크에 취약한 창업·벤처기업이 주 판매 대상이다. 연체·부실률이 높은 약소기업이란 이유로 은행서 판매를 꺼려왔지만, 기술 심사 역량을 지속 강화하며 최근엔 활성화하는 추세다.

현재는 20~22명(지방은행의 경우 7~10명)의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기술신용대출 평가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다. 업종·업력에 따라 세분화한 독자기술평가 모형을 구축해 대출 심사 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결과 기술신용대출 취급 은행들은 지난해 금융당국이 진행한 기술금융 실적 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평균 92점의 높은 기술평가서 품질 점수를 받는 등 안정적인 상품 운용 성과를 내고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기술신용대출이 다른 중소기업대출에 비해 리스크가 높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에는 발전된 평가모형을 통해 연체율과 부실률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자체 평가능력 부족으로 사설 기술신용평가사(TCB)에 의뢰해 지급했던 평가 수수료 비용도 많이 줄어 상품 자체에 대한 수익성도 많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술금융은 가계 대출 규제와 중소·소호 대출 경쟁으로 과열된 시장의 새 성장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대체적으로 부동산 입대업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 여신 포트폴리오 개선에도 효과를 보여 은행권의 기술신용대출 확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