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활성화 시도에도
10년새 순자산 절반 뚝
‘공룡펀드’마저 실종…
재탕정책에 시장도 외면

<편집자 주> 공모펀드 시장의 침체기가 길어지고 있다. 투자자들의 외면이 계속되는 사이 공모펀드 시장은 상장지수펀드(ETF)로 대체되는 양상이다. 정부는 투자자들의 대표적인 간접투자수단인 공모펀드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상황을 전혀 반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대한금융신문은 금융당국이 추진해 온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과 펀드시장을 살펴본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ETF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제외한 일반 공모펀드의 순자산총액은 지난달 말 기준 55조6904억원으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2년 말(107조5802억원)과 비교해 절반에 그치는 수준이다.

특히 증시 활황에 주식형 펀드에 자금이 몰렸던 지난 2020~2021년을 제외하면 꾸준히 우하향 곡선을 그렸다. 은행·증권사 등 전통적인 채널에서 판매되는 공모펀드의 역성장이 주효했다. 반면 거래소를 통해 매매되는 ETF는 날로 몸집을 불리고 있다.

주식형 공모펀드의 판매잔고 역시 지난 2008년만 해도 130조원을 넘어섰지만, 꾸준히 감소해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32조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여기에 순자산액 1조원이 넘는 ‘공룡’ 공모펀드도 시장에서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

시장이 쪼그라드는 동안 금융당국은 공모펀드 활성화 카드를 하나둘 꺼내들었다. 직접투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일반투자자들의 대표적인 간접투자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공모펀드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먼저 지난 2011년 공모펀드 판매시장의 과점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열사 펀드 판매비중 완화, 농협 조합 등 중소서민 금융회사의 펀드 판매 허용, 온라인 판매채널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지난 2015년에는 소규모펀드의 운용 비효율성과 수익률 저하 문제를 지적했고 대안을 발표했다. △성과보수 체계개편 △비교공시 활성화 △공모펀드 운용사 진입요건 완화 등을 포함한 자산배분펀드 관련 규제 완화 등을 추진했다.

지난해 8월에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공모펀드 설정시 고유재산 투자(시딩투자)를 의무화하고, 소규모펀드를 정리해 다수의 투자자가 가입한 펀드에 운용역량을 집중하도록 했다. 여기에 인센티브를 도입한 성과연동형 운용보수 펀드도 다시 도입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공모펀드 활성화 정책을 바라보는 업계의 시선은 차갑다. 정책이 상품의 다양성이나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을 진 몰라도, 투자자나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정책을 반복적으로 꺼내들면서 침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다.

성과연동형 운용보수 펀드가 대표적이다. 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내면 운용보수를 더 주고 낮은 성과의 펀드는 운용보수를 깎는 펀드인데, 2013년부터 수차례 등장했지만 투자자 유인 효과가 크지 않아 폐기됐거나 실제 설정된 펀드 수도 많지 않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결국 공모펀드가 ETF에 비해 비용이 비싸고 수익률이 낮다는 인식을 바꿀 수 없다면, 갈수록 축소될 것”이라며 "이미 자산이 줄면서 펀드매니저들이 운용할 여건이 악화되고, 수익률이 목표치에 못 미치는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핵심을 비켜간 기존 방안으로는 시장이 활성화되기 어렵다”면서 “펀드는 상품 특성상 투자 기간이 긴데, 장기 투자 세제 혜택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금융신문 유정화 기자 uzhwa@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