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사 해외사업 전문가 설문
사업 성장 가능성 1위 ‘중국’

이익 실현에 최소 10년 이상
국가·규제 따라 다르게 접근

▲ ‘해외사업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단위: 명/ 중국·베트남 중복응답 1명 포함).
<대한금융신문=장기영 기자> 보험사들이 포화 상태에 이른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 각국으로 보험영토를 확장하면서 세계인의 생명과 손해를 보장하는 ‘글로버런스(Global+Insurance)’시대가 도래했다.

세계 최대 보험시장으로 급부상한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지역이 주무대다.

해외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 검토와 인력 양성을 통해 사업역량을 높이고, 10년 이상 장기적 관점에서 각국 시장에 맞는 사업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대한금융신문은 ‘글로버런스 코리아, 세계를 보장하라’를 주제로 총 3주에 걸쳐 6개 대형 보험사의 해외 진출 현황과 성과, 향후 사업계획을 조명한다.

본지가 삼성생명, 한화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KB손보 등 대형 보험사의 해외사업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인 3명이 해외사업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중국을 꼽았다.

중국은 국내 생명·손해보험업계 각 1위사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를 비롯한 6개 회사가 모두 진출한 지역이다.

A사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보험의 수요는 고객으로부터 비롯되는데 중국은 인구가 많고 보험시장이 초기 상태여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나머지 응답자 중 2명(중복응답 1명 포함)은 베트남, 다른 1명은 인도네시아를 지목해 아시아 보험시장의 매력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B사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보험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경제성장률과 보험침투도(국내총생산 대비 보험료 비중)를 근거로 판단하는데 중국과 베트남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예상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보험침투도는 낮아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보험사들이 해외에 진출해 이익을 실현하는데 걸리는 최소 기간에 대한 질문에는 10년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진출과 동시에 또는 단기간 내에 두드러진 성과를 내기 어려운 만큼,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C사 관계자는 “보험산업은 손익 구조가 장기 구조인데다, 초기 진출 이후에도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익 실현에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고 강조했다.

생보사 전문가 2명은 모두 10년 이상을 선택한 반면, 손보사 전문가 4명 중 2명은 5년 이상을 답해 업종의 특수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했다.

D사 관계자는 “진출 지역에 따라 고정비 투자 규모가 다르지만, 손해보험의 경우 평균적으로 최소 5년 정도를 예상한다”고 전했다.

국내 보험사들의 해외 진출과 사업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국내외 규제 보다 사업역량 부족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5명이 사업역량 부족이라고 답했고, 나머지 1명만 해외 규제를 장애물로 지목했다.

D사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들은 해외사업 경험과 지식이 부족해 현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E사 관계자는 “시장별 매력도에 대한 객관화된 이해가 부족하고 경험을 갖춘 인재 양성에도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B사 관계자는 이익 실현에 걸리는 기간과 연계해 “투자자금에 대한 단기 성과를 기대하는 기업문화와 사회적 분위기도 문제”라고 전했다.

이 밖에 해외사업에 가장 적합한 사업모델에 대해서는 진출 시장의 환경과 규제에 따라 ‘케이스 바이 케이스(case by case)’로 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4명으로 주를 이뤘다.

실제 국내 보험사들은 진출 국가의 상황에 따라 단독 또는 합작법인을 설립하거나 현지 보험사에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A사 관계자는 “진출 시장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사업모델은 다양하다”며 “각 시장의 감독규정과도 직결된 사항이기 때문에 국가별로 접근 방식이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B사 관계자는 “손보사들의 경우 과거 단독법인이나 지점을 설립했으나 시장 침투에 한계를 경험했다”며 “최근 대안으로 지분투자, 인수합병(M&A) 등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