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핵심 보직 공석에
금융권 무기한 대기 모드

2025년 11월 20일 15:45 대한금융신문 애플리케이션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 임원 인사가 지연되자 금융권 전반에 감독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정감사 이후 이달 초중순쯤 예정됐던 임원 인사가 이달 내 결론을 내기 어려워지면서다.

<관련기사 : 2025년 11월 12일 본지 보도, 용산과 엇박자?…금감원 임원 인사 지체 조짐>

금감원 핵심 보직이 사실상 공석인 사태에서 각 업권 주요 검사·제재 일정과 현안 대응도 덩달아 늦어지고 있다.

특히 부원장·부원장보 등 결재 라인 임원이 부재해 내부 의사결정 속도가 눈에 띄게 떨어졌다. 헤게모니를 끌고 갈 임원이 없으니 부서별 굵직한 업무 추진이 어렵다는 전언이다.

금융회사들 역시 대관·리스크 관리 전략을 조정하지 못한 채 ‘관망 모드’에 들어간 모습이다.

주요 금융사들은 신사업 전략이나 대응 계획을 미루며 눈치만 살피는 상태다. 새 임원진의 성향에 따라 제재·검사 방향이나 강도가 변할 수 있어 섣불리 움직일 수 없는 탓이다.

현재 금융시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보험사 건전성 관리, 가상자산시장 규제 등 불안 요인이 산재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금감원 핵심 보직의 공백은 정책 신뢰도를 약화시키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운다.

금감원 임원 인사에 대한 주목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정권이 바뀐 후 첫 조직개편인 만큼, ‘핵심 보직을 누가 맡느냐’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정무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국감 때 금감원 자료 제출이 유난히 늦었다”라며 “임원 인사를 앞두고 있어 큰 이슈가 터지는 것을 막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금감원 내부 긴장감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문제의 핵심은 전 정권 임원 기용 여부를 둘러싼 이견이다. 금감원 임원 인사는 형식상 금융감독원장이 임명(부원장보)하거나 금융위원회에서 임명(부원장)하지만, 대통령실의 인사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이찬진 금감원장의 리더십은 이미 조직 전체를 아우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사 대기자 유임·교체 여부에 따라 권한 구조가 요동치는 조직이 ‘기다림’ 모드로 전환하는 상태는 내부 생산성에 큰 타격을 입힌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정무적 계산이 금융행정 위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금감원 인사는 시장 안정성과 감독 체계의 연속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안이다. 그러나 현재는 금감원 임원 인사를 정치적 파트너십과 권력 구도의 문제로 다루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금융감독 컨트롤 타워의 공백은 단순한 행정적 지연이 아니라 시장 신뢰를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지금 필요한 건 속도다. 금감원 인사에 시간을 끌수록 감독 체계 마비는 더욱 길어진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