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국민·하나 '3강 체제' 유지
신한은 적립금,하나는 성장세 1등
뺏고 뺏기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은행권의 순위 다툼이 치열하다. 적립금 규모에서 신한은행이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KB국민은행과 빠른 성장세의 하나은행이 바짝 뒤쫓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총 178조790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155조3386억원) 대비 15.1% 증가한 수치다.
퇴직연금 시장은 은행권이 높은 점유율로 주도한 지 오래다. 증권업계 등이 높은 수익률과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며 추격하는 형국이지만 은행들도 이에 대응, 아직 입지를 지키고 있다.
가장 많은 적립금을 보유한 곳은 45조9153억원을 기록한 신한은행이다. 2023년 말 은행권 최초로 적립금 4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작년에도 적립금 1위 자리를 지켰다.
신한은행과 함께 오랜 기간 3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KB국민은행(42조481억원)과 하나은행(40조2734억원)도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40조원선을 넘어섰다.
하나은행의 경우 전년보다 6조6000억원 가까이 몸집을 불렸는데, 순증 규모로 따졌을 땐 2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이들을 뒤따르는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은 각각 27조988억원, 23조4550억원을 기록, 타 은행에 비해 더딘 성장세로 하위권에 위치했다.
5대 은행의 평균 퇴직연금 수익률은 원리금 보장형이 △DB형 3.60% △DC형 3.43% △개인형IRP 3.23%, 원리금 비보장형이 △DB형 6.60% △DC형 10.19% △개인형IRP 9.68% 등이었다. 은행 중에선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대체로 우수한 수익률을 유지 중이다.
원리금 보장형 기준 DB형에선 하나은행(3.73%)의 수익률이 가장 우수했다. 이어 △KB국민은행(3.65%) △신한은행(3.62%) △우리은행(3.60%) △NH농협은행(3.41%) 순을 나타냈다.
DC형과 IRP형은 각각 신한은행(3.63%), 하나은행(3.32%)이 선두를 차지했다. DC형에서는 △하나은행(3.49%) △KB국민은행(3.45%)이, IRP형에서도 △KB국민은행(3.24%) △신한은행(3.24%)이 선두권에 들었다.
원리금 비보장형에선 DB형은 신한은행(7.99%)의 수익률이 타 은행을 크게 앞질렀다. DC형과 IRP형은 하나은행(12.83%·10.78%)이 높은 성적을 보였다.
원리금 비보장형에서의 상위권은 DB형 △KB국민은행(6.74%) △NH농협은행(6.31%), DC형 △신한은행(10.55%) △KB국민은행(10.49%), IRP형 △KB국민은행(10.34%) △신한은행(9.88%) 등이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은행 간 가입차 유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뿐 아니라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 증권사로의 '머니무브'도 경계해야 하는 상황이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다른 금융사로 쉽게 계좌를 옮길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전엔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회사로 옮기려면 보유 중인 상품을 모두 매도 후 처리해야 했지만, 이제는 투자 중인 상품을 그대로 둔 채 사업자만 변경할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안정적인 퇴직연금 자산형성을 돕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을 통해 차별적인 고객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금융신문 이진희 기자 ljh@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