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상당 기간 계속될 것
잉여현금흐름 우수 회사 주목
미 대선 해 S&P 상승 확률 83%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앰플리파이 사의 크리스티안 마군 CEO는 “내년 상반기까지 고려하면 기술주·고배당 ETF에 투자할 때”라고 7일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미국 ETF 운용사 앰플리파이 CEO 방한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앰플리파이는 매그니피센트7(이하 M7,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구글 △아마존 △메타 △테슬라)의 분기별 EPS 성장률이 지난해 말 정점(63%)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IT와 통신 등 기술 섹터의 성과는 양호하고 차후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M7 주식에 대한 쏠림은 자제하고 기술 주식을 분산 투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당기간 동안 고금리가 유지되고 금리인하 추세도 완만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마군 앰플리파이 CEO는 “잉여현금 흐름이 우수한 회사는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도 꾸준한 배당지급과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러한 고배당 주식으로 구성된 ETF로 불확실한 시장에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마군 CEO는 미국 대선이 있는 올해 미국 주식시장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는 미국 대선이 있는 해에 나타난 미국 주식시장의 특이점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대선이 있던 해 S&P500의 지수가 상승한 경우는 83%에 이른다. 나스닥과 다우존스 또한 각각 77%, 74% 확률로 지수가 올랐다.
미 대선이 있던 해 주가 평균 상승률은 S&P500이 11.6%로 가장 높았고 나스닥과 다우존스도 각각 평균 9.3%, 9.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군 CEO는 “대선이 있는 올해 시장은 더욱 탄력받고, 평균보다 나은 흐름을 보일수 있다”며 “특히 지난달 증시 성적이 안 좋았기 때문에 주목해 볼 만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운용은 앰플리파이와 협업을 통해 혁신 상품을 계속해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운용은 지난 2022년 4월 앰플리파이의 지분을 일부 인수하며 협업을 시작한 이후, 앰플리파이의 ETF 상품인 ‘BLOK ETF’와 ‘DIVO ETF’를 각각 아시아와 한국 시장에 출시한 바 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국내 최초로 선보인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ETF의 상품구조를 복제해 미국 뉴욕거래소에 Amplify Samsung SOFR ETF를 상장하는 등 지속적인 시너지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한금융신문 이현우 기자 lhw@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