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는 종합적으로 논의돼야 하며, 특정 이슈가 이념이나 정파 간 논쟁 대상이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3일 금융감독원은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회사 CEO 간담회를 개최했다. 자리에는 이복현 금감원장과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국내외 16개 증권사의 CEO 및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날 모두발언에 나선 이복현 금감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경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기후변화 등으로 장기 성장마저 위협받고 있다”며 “자본시장의 대개혁을 통해 기업의 혁신 동력 확보를 지원하고, 투자자가 과실을 최대한 향유하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장기적 성장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상속세 완화를 비롯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 △금투세, 배당세와 같은 자본시장 세제 합리화 등이 종합적으로 논의돼야 하며, 늦어도 올해 하반기까지는 사회적 총의를 모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 달성을 위해 증권업계의 혁신과 창조 노력이 필요하다며 네 가지 당부 사항을 전달했다.
먼저 증권사의 부동산과 대체투자 위주의 쏠림 투자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혁신기업에 대한 양질의 자금공급을 요청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관해서는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와 충분한 충당금 설정을 통해 손실 흡수능력을 제고하고, 시장 불안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유동성리스크를 관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개인투자자의 신뢰 제고를 위한 공매도 시스템 및 제도 개선안이 원활히 안착되도록 CEO의 책임감 있는 역할을 당부했다.
특히 CEO가 기업 내부통제의 최종 책임자로서 업계 질서를 바로잡고 금융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증권사 CEO들은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와 밸류업 프로그램 등 주요 현안이슈와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증권산업 발전을 위한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증권업계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솔선해 참여할 계획임을 밝히면서도, 기업의 밸류업 동참을 위해서는 세제 혜택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금융신문 이현우 기자 lhw@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