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실수익률 확인 가능한 지표
우리·BNK·DGB, 벤치마크보다 낮아
주가순자산비율(PBR) 1이 넘는 메리츠금융지주가 밸류업 공시를 통해 총주주수익률(TSR)을 강조했다.
업계는 TSR이 밸류업 국면의 주요 지표로 주목받을 수 있다고 내다본다.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PBR 1 이상 등 주식의 저평가 해소와 주주환원 강화 등이 필요한데 TSR 계산식이 이 부분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대한금융신문이 국내시장에 상장된 금융지주사의 직전 4개 분기(2023년 3분기~2024년 2분기) TSR을 살펴본 결과 메리츠금융지주가 94.9%를 기록했다.
이는 주요 벤치마크 지수(KRX 은행 37.3%, KRX 금융 39%)를 상회함은 물론 국내 상장된 기타 금융지주사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뒤를 이어 △JB금융지주 84.0% △KB금융 71.0% △하나금융지주 63.3% △신한지주 47.4% △한국금융지주 40.3% △우리금융지주 34.3% △BNK금융지주 29.8% △DGB금융지주 16.8% 순으로 나타났다.
TSR은 초기주가 대비 현재 주가의 변동률과 기간 내 지급된 배당금을 더해 계산한 수익률로 투자자가 실제로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성을 수치화한 값이다.
TSR 값이 높아지려면 주가 상승과 함께 배당금 지급이 필수적이다.
지주사 중에서도 상위권에 포진한 메리츠금융지주와 JB금융지주, KB금융의 경우 조사 기간 동안 각각 89%, 72%, 64%의 주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실 지급한 배당금도 각각 2360원, 3334원, 960원에 달해 결과적으로 높은 TSR 값을 기록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TSR은 주가 상승률과 배당금 지급 등 밸류업의 핵심적인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다”며 “상장사의 밸류업 평가수단으로도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투자자입장에서는 실질적인 투자 성과 지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경로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편 지난 4일 메리츠금융지주는 밸류업 공시에서 “PBR, 자기자본이익율(ROE), 자기자본비용(COE) 등의 지표분석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 방법을 결정하고 있다”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핵심지표로 TSR을 설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대한금융신문 이현우 기자 lhw@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