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 걸겠다” 호언장담에 與 거센 비판
임기 채울까 말까…금융권 안팎 ‘술렁’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금감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금감원).

2025년 04월 03일 13:15 대한금융신문 애플리케이션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기 만료를 두 달 앞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광폭 행보에 금융권이 술렁이고 있다.

이 원장은 지난 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임 의사를 표명했다.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따라 “직을 걸고 반대한다”던 본인의 주장을 이행하고자 한 발언이었다.

<관련기사 : 2025년 3월 18일 본지 보도, ‘상법 개정’ 찬반 격화…與 등진 금감원장>

다만 김병환 금융위원장 등의 만류에 따라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까지는 직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여당은 이 원장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일 “국민을 상대로 직을 걸겠다고 표명했으면, 반려를 기대할 게 아니라 사직서를 제출하고 짐을 싸서 청사를 떠나는 게 공인으로서 올바른 태도”라고 말했다.

또 권 대표는 이 원장이 ‘윤 대통령이 계셨으면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발언한 데 대해 “오만한 태도라고 생각한다”며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을 운운하면서 자기 생각과 같을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 제 공직 경험을 토대로 할 때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연일 이 원장의 수위 높은 발언이 이어지자 금감원 내부도 어수선하다. 특히 정치권까지 개입되며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이다.

한 금감원 관계자는 “(원장 사의 표명) 당일 출근하자마자 원 내부가 그 이야기로 시끄러웠다”라며 “당장은 원장 임기가 어떻게 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금감원 관계자는 “마땅한 후임자가 정해진 것도 아닌 상황에서 물러나겠다는 발언은 시장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 원장의 임기는 윤석열 대통령 임기와 떼놓을 수 없다. 검사 출신인 이 원장은 취임 때부터 윤석열 사단의 막내로 불리며 금융권은 물론 정치권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원장이 스탠스를 달리하는 모양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대통령 비상계엄령 선포를 기점으로 이 원장이 정부·여당과 다른 의사를 표명하는 것 같다”라며 우리금융 사례를 예로 들었다.

전말은 이렇다. 윤 정부로 들어서며 우리금융 수장이 된 임종룡 회장이 ‘파벌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단 이유로 대통령 눈 밖에 났고, 마침 우리은행 부당대출 사고가 터지자 이 원장이 과도하게 임 회장을 경질했다는 것.

그러나 올 2월 은행장 간담회에서 이 원장은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는 게 좋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금융권 관심이 쏠렸다.

최근 상법 개정을 두고 이 원장과 정부·여당 간 ‘엇박자’, ‘대립각’ 등의 평가가 반복해서 나오는 것 역시 이 중론에 힘을 싣는다.

국회 정무위원회 한 관계자는 “우리은행 부당대출 건은 손태승 전 회장 때 발생한 문젠데, 현 회장 퇴임을 거론할 정도로 책임을 묻는 건 당시에도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며 “금융위는 가만히 있는데 금감원만 계속해서 상법 개정 목소리를 내는 것도 월권”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까지만 직을 유지하겠다는 건 어떠한 의중이 담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